top of page

서울시, 시교육청과 청소년 마음지원 업무협약

  • seoultribune
  • 2024년 12월 18일
  • 1분 분량

ree

서울시는 17일 시교육청과 업무협약을 맺고 '청소년 마음건강 통합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두 기관은 상담 접근성 확대, 학교내 상담·평가 원스톱 운영, 위기대응 강화, 상담인력 전문성 제고, 지원체계 구축 등에 2년간 202억원을 투입한다.

시에 따르면 우울감과 자살 시도 증가 등 정신건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 중 실제 정신건강 서비스를 이용하는 청소년은 약 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변 친구들에게 낙인이 찍힐까 두려워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지 않는 청소년들이 많은 셈이다.

이에 시는 자치구별로 야간·주말에만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2026년까지 모든 자치구에서 상시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확대 운영한다. 동네에서 편한 시간에 상담받을 수 있는 '마음상담소'도 현재 9개구, 11개소에서 2026년까지 모든 자치구에 확대 설치한다.

전화 통화로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청소년상담전화(1388)'에 '1인 상담 책임제'를 도입해 초기 상담부터 회복 때까지 '맞춤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해 '서울형 청소년 마음건강 상담비'도 지원한다.

학교 내에는 '원스톱 상담시스템'을 갖춘다. 전문가가 직접 학교를 방문해 관심군 학생의 심층평가, 상담부터 학부모 상담, 치료기관 연계까지 원스톱 지원할 예정이다.

학교 내 자살이나 자해 발생 시 신속하고 대응할 수있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서울시 자살예방센터에 학교위기대응 전담팀을 신설하고, 교육지원청 별로 위기지원단을 운영해 학교 위기 상황 시 협력한다.

청소년들에게 고품질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 초·중·고 1329개교 중 007개교(75.8%)에 배치된 상담교사를 2030년까지 모든 학교에 배치하고 '위(Wee) 클래스'도 모두 설치한다.

시는 '청소년 상담인력 직무재교육훈련시스템'을 개발해 학교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상담인력의 전문성을 높일 계획이다.

중앙부처, 관계기관과 '서울시 청소년 마음건강정책 협의체'를 구성하고, 청소년 마음건강전문가로 자문단을 운영해 청소년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마음돌봄 정책도 추진한다.

서울트리뷴 (c)

댓글


서울트리뷴

제호. 서울트리뷴

E. seoul_tribune@naver.com

(07635) 서울시 서초구 신반포로 3길 8, 317호

등록번호. 서울 아55338  |  등록연월일. 2024.03.07  |  발행인. 김정민  |  편집인. 김정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정민

© 2024 by Seoul Tribune.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