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미히르 데사이, The Wisdom of Finance

  • seoultribune
  • 2024년 12월 26일
  • 2분 분량

ree


이 책은 금융을 단순한 돈벌이의 도구로 바라보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인문학적 통찰을 통해 금융의 본질과 역할을 탐구한다. 하버드경영대학원 미히르 데사이 교수는 그의 MBA 졸업반 강의를 바탕으로 금융을 철학, 문학, 역사, 예술 등 다양한 인문학적 관점과 대중문화 사례로 연결하여 설명한다. 그 과정에서 금융의 핵심 개념들을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 형태로 풀어낸다.

책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금융과 인간성

금융은 흔히 탐욕과 부패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저자는 금융의 본질이 인간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금융이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관리하여 삶의 안정성을 높이고, 사회에 가치를 창출하는 도구라는 점을 강조한다. 금융을 단순히 경제적 관점에서가 아니라 삶의 철학적·윤리적 과제와 연결시키며, 개인과 사회가 어떻게 금융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 제시한다.

2. 금융의 개념을 인문학적으로 탐구

저자는 금융의 복잡한 개념들을 문학, 역사, 철학, 영화와 같은 다양한 인문학적 사례와 연결하여 설명한다.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에서는 결혼 시장에서의 리스크 관리와 선택의 중요성을 통해 금융에서 리스크 분산의 개념을 풀어낸다. 성경의 달란트 우화에서는 자산 관리와 가치 창출의 본질을 설명한다. 현대 미술가 제프 쿤스와 관련해서는 레버리지(지렛대 효과)가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는 동시에 위험한 함정이 될 수도 있음을 시각화한다. 영화 <워킹 걸>에 대해서는 기업 합병과 개인적 결합(결혼) 사이의 유사점을 통해 M&A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3. 리스크와 불확실성

금융은 본질적으로 리스크와 불확실성을 다루는 학문이다. 저자는 보험, 옵션, 분산투자 등 리스크 관리의 도구들을 설명하며, 이런 도구들이 삶의 불확실성을 대처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보여준다. 철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와 같은 사상가를 언급하며, 금융의 본질이 미래를 예측하고 준비하는 과정임을 강조한다.

4. 금융과 삶의 병렬

저자는 금융과 삶의 유사성을 다루며, 금융 개념이 어떻게 인생의 다양한 측면과 연결되는지를 보여준다.

(1) 기업 합병과 결혼: 결혼을 합병에 빗대어, 합병이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진정한 통합을 통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2) 레버리지와 도전: 빚과 레버리지의 올바른 사용법을 논하며, 이것이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어떻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거나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3) 파산과 회생: 실패와 재기 과정에서 윤리적 책임과 미래를 준비하는 법을 제시한다.

5. 금융의 윤리적 측면

금융은 윤리적 딜레마를 수반한다. 파산, 레버리지, 투자 실패 등에서 개인과 기업이 직면하는 윤리적 도전을 탐구하며, 어떻게 금융이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아메리칸항공의 파산 사례를 통해, 파산이 단순히 윤리적 실패가 아니라 구조 조정과 회생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금융과 인문학의 접점 탐구

이 책은 금융을 철학적·문학적·예술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독자들에게 금융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금융의 복잡한 이론을 수식이나 그래프 없이 흥미로운 이야기로 풀어냄으로써 대중적인 접근성을 높였다.

금융의 두 얼굴: 긍정과 부정

금융의 부정적인 측면(탐욕, 부패 등)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측면(리스크 관리, 가치 창출)을 조명하며, 금융이 어떻게 더 공정하고 윤리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금융과 삶의 통합적 시각

금융의 개념을 삶의 여러 요소와 병렬하여 설명함으로써, 독자가 금융을 단순한 경제 도구가 아니라 인생의 복잡성을 다루는 전략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 책은 금융에 대한 몰이해와 부정적인 편견을 깨고, 금융의 본질을 인문학적 시각으로 탐구하며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야를 제공한다. 금융 전문가뿐 아니라 금융에 관심 있는 일반 독자, 더 나아가 철학, 문학, 대중문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도 유익하고 흥미로운 읽을거리가 될 것이다.

가벼운 마음으로 금융과 삶의 유사성을 음미해 보자.

서울트리뷴 (c)



댓글


서울트리뷴

제호. 서울트리뷴

E. seoul_tribune@naver.com

(07635) 서울시 서초구 신반포로 3길 8, 317호

등록번호. 서울 아55338  |  등록연월일. 2024.03.07  |  발행인. 김정민  |  편집인. 김정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정민

© 2024 by Seoul Tribune.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